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은 기존 외산 철도 시스템을 국산화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한국의 신호 시스템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은 본래 한국형 무선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KRTCS)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였다. 한국형 무선 통신 기반 열차시스템은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한국형 CBTC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였으나, 도시철도용만 개발이 된채 국가재난통신망의 호환성 등이 발목이 잡혀 현재의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라는 프로젝트로 재편이 되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KTCS-M(구. KRTCS-1)
- 도시철도용 CBTC를 국산화한 신호시스템으로, KRTCS의 초기 프로젝트였으나 KRTCS가 KTCS로 개편되면서 KTCS-M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신림선에 최초로 적용이 되었으며 동북선에도 KTCS-M을 기반으로 하는 신호시스템이 적용되었다.
- KTCS-1
- KTCS-1의 개념은 명확하지 않으나, 기존에 ATP라고 불리는 ETCS-L1 시스템을 국산화한 시스템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유로발리스나 발리스 전송 장치 등이 국산화되었다.
- KTCS-2
- ETCS-L2로 호환되는 신호 시스템으로 ETCS-L2와의 차이점은 ETCS-L2는 GSM 기반 통신 방식인 GSM-R을 사용하지만 KTCS-2는 LTE 기반 통신 방식인 LTE-R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전라선에 시범 운영이 되었고 2022년 4월 8일부터 전라선에 사용이 개시되었다. 또한 평택-오송 2복선에도 이 신호 시스템이 사용될 예정이다.[1][2] 당국은 장기적으로 TVM 등을 포함해서 기존 신호 시스템을 이것으로 대체할 생각인 듯 하다.
- KTCS-3
- ETCS-L3과 호환되는 신호 시스템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 ↑ 장병극 (2022년 4월 5일). “[현장르포] 국산·표준화, 다 잡은 KTCS-2 ‘전라선 시범사업 결실’”. 《철도경제신문》. 2023년 7월 6일에 확인함.
- ↑ 장병극 (2022년 5월 4일). “평택-오송 2복선화사업 속도낸다...내달 착공식 열 듯”. 《철도경제신문》. 2023년 7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