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보크로아트어

L위키, 시민들이 참여하여 가꾸는 리버럴 위키
세르보크로아트어
Srpskohrvatski jezik
Српскохрватски језик
사용 국가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사용 지역 서부 발칸반도
언어 인구 주 사용지역 기준 1천 4백만명(2020 혹은 2021), 소수민족 지역 포함 2천 1백만명 (2011)
문자 로마자(가이의 로마자 표기법)/키릴 문자(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문자 표기법)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부 슬라브어파
   세르보크로아트어
공용어 및 표준
표준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언어 부호
ISO 639-1 sh
ISO 639-3 hbs

유고슬라비아에서 슬로베니아/북마케도니아/코소보/보이보디나[1] 등을 제외한 모든 남슬라브족이 사용하는, 구유고연방 분열 이후의 크로아티아/보스니아/몬테네그로/세르비아의 국어의 기초

세르보크로아트어(Srpskohrvatski jezik/Српскохрватски језик)는 서부 남슬라브어파의 언어로써, 세계에서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여러 언어로 표준화된 다표준(多標準) 언어이다. 산하 방언으로 방언연속체에 속해있어 일정 이상 서로간의 소통이 가능하긴 하나, 상당히 이질적인 카이 방언, 차 방언, 슈토 방언으로 구성된 3대 방언 및 불가리아어 혹은 마케도니아어로 넘어가는 중간에 위치하는 토클라 방언 등의 4개 큰 방언으로 분류되며, 지역별 악센트나 특정 어미(語尾)을 기준으로 4개의 악센트로 구분되어, 이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중앙크로아티아 언중(言衆)의 카이 방언과 달마티아 및 이스트라 반도 및 보스니아 비하치 돌출부 일원의 차 방언 등과 달리 슈토 방언은 카이 방언권과 차 방언권을 제외하고는 거의 구 유고 연방을 이뤘던 곳에서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그리고 코소보의 대다수와 보이보디나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에 널리 퍼져있다. 이러한 연유로, 19세기 민족 각성을 통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등을 중심으로 하는 슬로베니아인을 제외한 서부 남슬라브인은 슈토 방언, 그 중에서도 동부 헤르체고비나 하위 방언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각 민족의 언어 규범의 기초로 삼았다. 이로 인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다표준 언어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세르비아의 자치주이나, 헝가리인이 소수민족임에도 일정부분 다수를 차지하는 해당 지역 특성 상 넣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