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L위키, 시민들이 참여하여 가꾸는 리버럴 위키
(코레일에서 넘어옴)
한국철도공사
창립2005년 1월 1일
국가
본사 소재지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0 (소제동 철도기관 공동사옥)
핵심 인물
나희승(사장)
매출액4,958,607,370,113원(2020년)[1]
영업이익
-1,211,371,946,086원(2020년)[1]
-1,342,681,563,918원(2020년)[1]
자본금10,502,117,991,002원(2020년)[1]
슬로건마음을 잇다, 당신의 코레일
웹사이트info.korail.com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영어: Korea Railroad Corporation)는 한국의 일반 철도 운영을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코레일이라는 약자가 주로 통용되었으나, 2019년 한국어 약칭을 기존의 코레일에서 한국철도로 바꾸었다.

부채[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의 부채는 과거 철도청 시절의 KTX 건설 부채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참여로 인한 빚이 대부분이다. 여기서 KTX는 흑자를 내는 알짜노선이지만 건설부채가 있음에도 국가철도공단에 사용료를 내야 하는 상황이며,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실패하여 그대로 매물비용이 된 상황이다.

한국철도공사의 부채 상환은 요원해 보인다. 한국철도공사는 기존선과 광역전철의 적자를 KTX로 때우는 구조인데 수서발 고속철도를 주식회사 SR한테 넘김으로써 강남 등지의 수요는 SRT로 넘어갔기 때문.

이러한 부채 때문에 철도 민영화론의 빌미가 되기는 한다. 하지만 코레일은 민간회사와 달리 영업이익을 위해 운영하는 회사가 아니며 공공성 또한 중시되기 때문에 핵심 노선이 아닌 노선을 폐선시키지 않고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 때문에 적자로 인해서 빚을 갚기 어려운 거다. 여타 공기업이 그렇듯 국책사업의 빚을 떠안기도 했고.

민영화 논란[편집 | 원본 편집]

현행 철도 상하분리 체제는 IMF의 각종 민영화 권유에 따라 민영화를 전제로 구성되었다. 원래 한국철도공사는 공사가 아닌 주식회사 형태로 탄생할 예정이었지만, IMF 관리체제를 졸업했고 각종 반발 때문에 공사를 출범하는 식으로 끝났다. 전술했듯 현행 철도 상하분리 체제는 민영화를 전제로 구성되었기에 민영화 시키기에 딱 좋은 구조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 각종 공공부분 민영화를 검토하기 시작했고 당시 철도뿐만 아니라 전기 등 여러 공공분야의 민영화 논란이 진행되었다. 철도 부분의 경우 이명박 정부는 철도 경쟁체계를 도입하여 민영화를 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부터 이것을 도입하려 하였다.[2]

이후 수서고속철도를 민간에게 넘긴다는 소리가 들렸고, 워낙 반발이 심해서 일단 자회사가 운영하는 식의 철도경쟁체계를 실현하겠다고 한다. 많은 반대가 있었지만 수서고속철도 자회사는 주식화사 SR가 출범하고 SR이 수서고속철도 운영을 맡으면서 결국 실현되었다.

비판[편집 | 원본 편집]

낮은 LCD 활용도[편집 | 원본 편집]

5. 무성 TV, 무성의 안내

천정의 소형 TV는 쉴새 없이 화면을 바꿔가며 뭔가를 보여주었다. 이어폰 을 찾았다그러나 없다. 일반실 좌석에는 이어폰이 없는 것이었다. 벙어리 TV, 무성(無聲)TV였다TV는 같은데 이어폰은 특실에만 있다.

"국민참여 코레일 여행문화운동"
"이제 철도여행문화는 KTX 시대입니다"

TV 자막에 이런 문구가 나타났다이 홍보문구가 의미를 가지려면 갈 길이 먼 것 같았다.

게다가 TV 자막에는 정차역 안내가 없다. 깊은 잠에라도 빠졌던 사람은 열차가 어디쯤 가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다음 정차역이 어디인지는 정차 직전에 안내방송으로 알려줄 뿐이다. 뉴스는 불과 몇 꼭지를 성의 없이 반복해 보여준다. 날씨 안내도 거의 없다. 무성 TV의 무성의(無誠意)안내다.

— 이낙연, "KTX를 타보니" : 고속철도 개선을 위한 현장보고, [1]

한국철도공사는 LCD 활용도가 좋지 않은걸로 악명높다. 한국철도에 LCD 디스플레이가 객실에 들어온 시점은 장애인 객차가 최초로 추정이 된다. 장애인 객차의 LCD는 속도와 도착역 안내 기능이 있었다. KTX 시대가 들어서면서 당시 철도청은 본격적으로 LCD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위의 인용문에서 나와 있듯 이낙연은 국내에서 거의 최초로 LCD 활용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후 KTX LCD에서는 정차역 안내가 추가되었기는 했으나, "깊은 잠에라도 빠졌던 사람은 열차가 어디쯤 가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에 사실상 언급된 평상시에 열차 위치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200km/h 이상의 속도에 나오는 속도 표시도 슬그머니 없애거나 시속 250km/h로 기준선을 높이는 등의 개악을 하기도 한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1.0 1.1 1.2 1.3 알리오에 공시된 재무재표 기준
  2. 이지용 (2011년 9월 28일). “대우·동부 철도사업 참여”. 《매일경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